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헌법재판관 명단 성향 임기 (+탄핵 선고시간)

by 알림톡톡톡 2025. 4. 3.
반응형

2025년 기준 헌법재판관 명단, 성향, 임기부터 윤석열 탄핵 선고일과 관련 정보까지 전부 담았습니다. 헌재 판단의 향방을 예측하는 데 필요한 핵심 정보가 모두 들어있습니다.


✅ 요약 먼저! 지금 헌재 상황 한눈에 보기

  • 📆 윤석열 대통령 탄핵 선고일: 2025년 4월 4일(금) 오전 11시
  • 👥 현재 헌법재판소 인원: 정원 9명 중 8명
  • ⚖️ 헌재 성향 분포: 진보 3명 / 중도 2명 / 보수 3명 → 중도 캐스팅보트
  • 문형배·이미선 재판관 임기 종료: 2025년 4월 18일
  • 📺 선고 생중계 예정: 헌재 유튜브, 지상파 3사, 포털에서 생중계

🧑‍⚖️ 2025년 기준 헌법재판관 명단 & 성향 총정리

▶ 문형배 (소장 권한대행)

  • 성향: 진보
  • 임기: ~2025.04.18
  • 지명자: 문재인 대통령
  • 특징: 헌재 내 대표적 진보 성향, ‘우리법연구회’ 전 회장

▶ 이미선

  • 성향: 진보
  • 임기: ~2025.04.18
  • 지명자: 문재인 대통령
  • 특징: 최연소 헌법재판관, 유일한 비서울대 출신

▶ 김형두

  • 성향: 중도
  • 임기: ~2029.03.31
  • 지명자: 김명수 대법원장
  • 특징: 균형 잡힌 법리 해석 중심

▶ 정정미

  • 성향: 중도
  • 임기: ~2029.04.17
  • 지명자: 김명수 대법원장
  • 특징: 중도적이나 사회적 약자 보호에 강한 관심

▶ 정형식

  • 성향: 보수
  • 임기: ~2030.10.15
  • 지명자: 윤석열 대통령
  • 특징: 이번 윤석열 탄핵 사건 주심

▶ 김복형

  • 성향: 보수
  • 임기: ~2030.09.20
  • 지명자: 조희대 대법원장
  • 특징: 서울고법 부장판사 출신, 안정성 중시

▶ 조한창

  • 성향: 보수
  • 임기: ~2031.02.26
  • 지명자: 국민의힘 추천
  • 특징: 사법연수원 18기, 보수적 법 해석 강조

▶ 정계선

  • 성향: 진보
  • 임기: ~2031.02.26
  • 지명자: 더불어민주당 추천
  • 특징: 헌법 위반에 강경한 입장, 과거 이명박 전 대통령 실형 선고

📊 성향 분석: 현재 헌재는 ‘균형구도’ → 중도 2명이 캐스팅보트

성향재판관
진보 문형배, 이미선, 정계선
중도 김형두, 정정미
보수 정형식, 김복형, 조한창
  • 현재는 3:2:3 구조로, 중도 재판관의 판단이 판결에 결정적 영향을 줍니다.
  • 특히 정형식 재판관이 주심이라는 점에서 이번 탄핵 선고의 방향에 주목해야 합니다.

📅 탄핵 선고 일정과 생중계 정보

  • 선고일: 2025년 4월 4일 (금) 오전 11시
  • 진행 방식: 선고 이유 설명 후 주문 발표
  • 소요 시간: 최소 30분 ~ 1시간 예상
  • 생중계 플랫폼:
    • 헌법재판소 유튜브 공식 채널
    • KBS, MBC, SBS
    • 포털 사이트(네이버, 다음 등) ‘생중계’ 탭

📌 주의: 문형배·이미선 재판관 임기 종료 전 선고가 이뤄지므로, 이번 판결이 현재 8인 체제에서 내려질 마지막 중대 결정일 수 있습니다.


🧩 탄핵 인용 요건과 쟁점

  • 헌법재판소법 제23조에 따라 6명 이상 찬성 필요
  • 쟁점:
    • ‘12·3 비상계엄 사태’ 위헌성 여부
    • 대통령 권한 남용 여부
    • 공직자의 임명 거부·직무방해 여부 등

📍 진보 재판관들은 헌법 위반 중대성을 강조
📍 보수 재판관들은 직무 적법성 중심 해석
📍 중도 재판관이 어느 쪽에 설지가 관건


 


🧾 헌법재판관 임명 절차와 최근 논란 정리

헌법재판소는 총 9명의 재판관으로 구성되며, 다음 기준에 따라 임명됩니다.

  • 대통령 지명: 3명
  • 국회 선출: 3명
  • 대법원장 지명: 3명

하지만, 최종 임명권은 모두 대통령에게 있습니다.

📌 최근 임명 갈등 사례

  • 국회 몫 재판관 3인 중 일부는 야당이 추천했으나 임명 거부
  • 한덕수 권한대행 당시 임명 거부는 삼권분립 침해 논란 야기
  • 이후 윤 대통령 권한대행 체제에서 일부 인사 강행

이러한 갈등은 헌법재판소의 정치적 중립성과 독립성에 영향을 줄 수 있어 문제로 지적되고 있습니다.


⚖️ 주요 탄핵 사건 판결 분석 (2024~2025년)

🔹 감사원장 탄핵 (2024헌나2) – 기각 (전원일치)

  • 핵심 쟁점: 대통령 집무실 감사의 정치적 중립성
  • 재판관 입장:
    • 진보: 감사 독립성 훼손은 인정했으나 파면 요건 미달
    • 보수·중도: 감사 절차는 적법, 파면 사유 아님

🔹 검사 이창수 탄핵 (2024헌나3) – 기각 (전원일치)

  • 핵심 쟁점: 김건희 여사 수사 부실
  • 모든 재판관 의견: 수사 공정성 의문은 있으나 탄핵 요건 불충족

🔹 검사 조상원 탄핵 (2024헌나4) – 기각 (전원일치)

  • 핵심 쟁점: 도이치모터스 관련 수사 지휘 문제
  • 재판관 의견: 수사에 미흡함 있었지만 파면 수준 아님

🔹 국무총리 한덕수 탄핵 (2024헌나9) – 기각 5, 인용 1, 각하 2

  • 핵심 쟁점: 권한대행 시기 헌법재판관 임명 거부, 특검법 공표 거부
  • 의견 분포:
    • 진보(정계선): 유일하게 ‘인용’
    • 중도·보수: 임명 부작위는 헌법 위반이나 파면 사유 부족

📌 재판관별 주요 판결 태도로 본 성향 요약

재판관성향주요 판단 경향
문형배 진보 헌법 위반 민감하나 신중함
이미선 진보 기본권 강조, 탄핵에 신중
정계선 진보 가장 강경한 입장, 인용 주도
김형두 중도 법리 중심, 합리적 조율
정정미 중도 헌법 위반 인정하되 파면은 신중
정형식 보수 법질서 강조, 각하/기각 중심
김복형 보수 안정성 우선, 중도-보수 성향
조한창 보수 절차적 적법성 강조, 탄핵 요건 엄격

🔍 윤석열 탄핵 심판의 향후 전망

🔸 탄핵 인용 조건

  • 8인 체제 기준으로도 심리 가능 (헌법재판소법상 7인 이상 심리)
  • 인용을 위해선 6명 이상의 찬성 필요

🔸 변수는 중도 재판관

  • 현재 구조상 진보 3명 + 중도 2명이 인용 시도할 경우
  • 보수 3명이 반대할 경우에도 인용 가능 → 중도의 선택이 핵심

🔸 주심의 영향력

  • **정형식 재판관(보수)**이 주심으로, 판단 흐름에 상당한 영향 미침
  • 주심이 직접 인용 의견을 쓰지 않더라도, 판결 구조를 설계하는 입장에서 결과에 결정적일 수 있음

📺 선고 생중계로 체감할 수 있는 역사적 순간

  • 국민의 알 권리 보장을 위해 생중계 확정
  •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선고 때와 유사한 방식
  • 국민적 관심이 최고조에 달한 상황

시청 방법
헌법재판소 유튜브 채널
→ 포털 사이트 ‘생중계’ 탭
→ KBS, MBC, SBS 방송 및 유튜브 채널


✅ 마무리: 이 글 하나로 정리된 탄핵 핵심 포인트

✔️ 헌법재판관 8인의 성향, 임기, 배경 전부 분석
✔️ 윤석열 대통령 탄핵 선고일, 구조, 생중계 경로 완벽 정리
✔️ 캐스팅보트 중도 재판관의 판단이 핵심
✔️ 선고는 4월 4일 오전 11시, 약 30분~1시간 소요 예상

반응형